수직응력(Strees,σ)시그마
외력이 자가용하는 물체 내에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힘
응력은 반드시 재료의 강도보다 작아야한다.
수직변형률(Stain,ε)입실론
물체의 형상이 변화한양을 원래크기로 나눈값
단위가없음
프와송비(ν,) 프와송비(m)
하중직각방향 변형률/하중방향 변형률
- 강재의 프와송비 3~4
- 콘크리트의 프와송비 6~12
점B(항복점) _ 항복강도
점D _극한강도
기울기_탄성계수
탄성영역 ->소성영역 -> 변형률 경화영역 -> nacking
연성: 항복이후 파괴시까지 버티는 능력
인성: 흡수할수있는에너지의 크기
*강도가 커지면 연성은 줄어든다
1) 탄성 하중을제거 했을 떄 재료가 원래의 치수로 되돌아가는 성질
2) 소성 물체에 항복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변형하고 외력을 제거해도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성질
3) 항복 응력의 증가없이 변형만 증가하는 현상
강성: 변형에 대한 저항성질(상대적)
강도: 파괴에 대한 저항성질(절대적)
철근의강도
SD (fy=300MPa) Steel deformed-bar
HD (fy=400MPa) Hight-tension Deformed-bar
SHD (fy=500MPa) Super Hight-tension Deformed-bar
UHD (fy=600MPa) Ultra Hight-tension Deformed-bar
고강도철근 특성
- 항복강도 400MPa이상의 철근
- 철근의 강도가 좋아지면 연성이 줄어들기 떄문에 철근의 강도제한을 한다.
- 고강도 철근 배근시 이음길이 증가(콘크리트는 강도가 높아지면 이음길이 감소)
- 고강도 철근과 일반철근의 탕성계수(=강성)는 같다
- 소성흐름 구간이 작기때문에 취성 파괴에 주의
항복강도 상한값 규정
- 강종별 특성에 따라 120N/mm2을 더한 값으로 규정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취성파괴 예방
구조용강재
H-300x150x6.5x9 (SM275C-TMC)
Steel Marine (용적구조용 압연강재)
275Mpa: 항복강도 기준
A,B,C,D :저온충격인성의 판단 기준
열처리여부: TMC(Thermo Mechanical Control):열제어 가공
변형(Deformation)과 변위(Displacement)와 처짐(Deflection)
변형은 모양이 변하는 것
변위는 위치가 변하는 것
처짐은 수평부재에 수직하중이 작용할때 수직방향으로 변위가 발생
EI=탄성계수x단면2차모멘트 (I=bh³/12)
wl=하중x길이
강접합:고정단 모멘트의 90% 미만발생
반강접합:고정단 모멘트의 20~90% 미만발생
핀접합:고정단 모멘트의 20% 미만발생
내진구조: 구조물이 견딜수 있게 설계하는것
제진구조 : 지진파의 영향을 최소하는구조
면진구조: 구조물과지반사이에 장치를하여 지진파에서 구조물이 면하는 구조
내진설계규정
1. 층수 2층이상
2. 크기
- 연면적 200m²
- 건축물 높이 13m 이상
- 처마높이 9m 이상
- 경간 10m 이상
1. 장주
- 단면의 크기에 비해 길이가 비교적 긴 압축재
- 단면의 압축응력도가 재료의 비례한도 이하에서 좌굴하는 압축재
- 좌굴강도는 재료의 강성에 관계하고 강도와는 무관
- 일반적으로 장주는 오일러하중이 적용
- 세장비로 판별
2. 단주
- 단면의 크기에 비해 길이가 짧은 기둥
- 압축력 작용시 좌굴이 발생하기 전에 재료가 항복
- 핵점안에 하중이 작용하면 전단면이 압축
3. 장주와 단주의 가장큰차이점
- 장주는 강성이 지배적
- 단주는 압축강도 지배적
- 장주와 단주의 판단이 먼저필요
'Practice > Cla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설계하중 (0) | 2021.10.27 |
---|---|
구조시스템 (0) | 2021.10.26 |
힘의 평형과 구조부재 (0) | 2021.10.24 |
구조해석과 구조설계 (0) | 2021.10.23 |
건축마감상세 (0) | 2021.10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