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구조계획순서
1. 구조물의 종류 결정
2. 구조물의 이상화
3. 하중설정
4. 단면모양과 크기
5. 단면력의 계산
6. 응력계산 (feed back 단면모양과 크기)
7. 처짐계산
8. 완료
구조설계법
Fck=P/A
1. 허용응력설계법(A.S.D)
- 재료의 강도에 SafeFactor적용
- 하중의 특성을 반영 할 수 없다.
- 극한상황의 재료거동을 알 수 없다.
- 안전률에 신뢰성이 없고 경험적이다.
2. 한계상태설계법(L.S.D)=극한강도설계법(U.S.D)=하중저항계수설계법(L.R.F.D)
1) 부재별 거동특성을 다르게 반영할 수 있다.(강도감소계수)
- 보:연성파괴(파괴영향 소)
- 기둥: 취성파괴(파괴영향 대)
2) 안전률을 세분화해서 적용가능
- 하중계수:1.2D+1.6L
- 강도감소계수: 압축재, 휨재 등
하중의 종류
1. 풍하중
2. 적설하중
3. 고정하중
4. 활하중
5. 지진하중
Pd(설계강도)=Φ(강도감소계수)Pn(공칭강도)
728x90
반응형
'Practice > Cla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조시스템 (0) | 2021.10.26 |
---|---|
응력과 변형률의 관계 (0) | 2021.10.25 |
힘의 평형과 구조부재 (0) | 2021.10.24 |
건축마감상세 (0) | 2021.10.19 |
방화구획 (0) | 2021.10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