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흙깍기 공사관리
1) 흙깍기 사면의 붕괴
- 사면의 활동력이 전단강도보다 클 때
- 대책 ->보호(억제)공법, 보강(억지)공법
2)암반사면의 안전성
- 불연속면의 구조 및 기하학적 역학적 특성에 좌우
3)흙깎기 사면 보강 사례
- 흙깎기 지질 변경, 터널 갱구부 사면
4)흙깎기 보강 주요 공법
- 억지말뚝, Soil Nailing, Rock Bolt, Anchor
흙쌓기 공사 관리
1)연약한 원지반의 특성
- 토질별 특성
- Heaving
- 잔류 침하
2) 현장 다짐도 관리
- 평판재하시험
- 들밀도 시험
- Proof Rolling
3) 암버럭 흙쌓기
4) 보강토 옹벽쌓기
앝은 기초의 지지력
1) 평판재하실험(PBT)
- 지반파괴기준 지지력
- 허용침하량기준 지지력
2) Scale Effect
- 기초에 작용하는 하중영향 범위
- 부동침하
깊은 기초(말뚝)
1) 시공 단계별 유의사항
- 항타준비
- 시항타
- 동재하 시험(PDA)
- 본 항타 및 항타 종료
2) 정재하시험
3) 보조 말뚝
흙막이 분류
- 버팀대(Strut)지지
- 앵커 지지
- 무 지보
불안정 특성
- 보일링(Boiliing)
- 파이핑(Piping)
- 히빙(Heaving)
- 라이징(Rising)
- 근입 깊이 부족
흙막이 품질관리
- 사전준비
- 흙막이 벽체(충북한 근입 심도, 연직도 등)
- 흙막이 근입 깊이 부족시 대책
- 흙막이벽 배면 침하 원인과 대책
- 차수 흙막이 piping
- 흙막이 시공성 개선 변경
- 흙막이 계측관리(정보화 시공)
728x90
반응형